IT 서비스

두 달 만에 1억 명이 사용한 인공지능 챗봇 '챗 GPT'

윤컴즈 2023. 2. 6. 17:53

 

 

인공지능 챗봇 '챗GPT'가 출시 두 달 만에 월 사용자 1억 명을 돌파하면서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검색 결과 나열이 아니라 높은 수준의 논문이나 연설문 대리 작성까지 하고, 인간과 비슷한 언어를 구사하며 전문 영역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

 

 

 

챗 GPT란?

챗 GPT(Chat GPT)는 미국의 벤처기업 '오픈 AI(Open AI)'가 개발한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으로, 사용자가 대화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에 맞춰 대화를 함께 나누는 서비스입니다. 

 

 

오픈AI에서 만든 대규모 언어예측 모델인 ‘GPT-3.5’ 언어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데요. GPT는 어떤 텍스트가 주어졌을 때 다음 텍스트가 무엇인지까지 예측하며 글을 생성할 수 있는 모델로, 인터넷 문서와 책을 비롯한 자료를 3000억 개 이상 학습한 인공지능입니다.

 

 

미국 의사면허시험에서는 50%가 넘는 정확도를 보였고, 로스쿨 졸업시험에서도 평균 C+ 이상의 학점을 받으며 의사, 변호사 시험을 통과했습니다.

 

 

 

 

뜨거운 논쟁을 일으키고 있는 챗 GPT

GPT는 공개 이후 교육·연구 분야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뜨거운 논쟁을 일으키고 있는데요. GPT가 기존 챗봇과 달리 방대한 양의 전문 지식을 담은 에세이와 논문을 순식간에 써내려가는 능력을 갖춘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미 미국에서는 챗GPT를 시험이나 과제에 이용하는 사례가 늘면서 논란이 일고 있는데, 뉴욕시의 경우 2023년 1월부터 공립학교 내에서 챗GPT의 접근을 차단하겠다는 발표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또 챗GPT는 기존 콘텐츠를 대량으로 학습해야 작동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관련 저작권에 대한 분쟁도 있으며, 일각에서는 챗GPT가 가짜 뉴스와 혐오 발언 등 유해 콘텐츠 생산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는 점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IT 기업들도 기술 개발 매진

국내 기업들도 앞다퉈 기술 개발에 매진 중입니다. 검색 강자 구글뿐 아니라 국내 주요 IT 기업들도 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요.

 

네이버는 대용량 데이터를 품은 초거대 AI를 활용해 검색과 예약, 쇼핑 서비스에 도입했고, 자기소개서 쓰기, 광고 글 만들기로도 활용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맞춤형 AI 서비스에 '장기 기억' 기능까지 넣어 AI와의 대화가 1회성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이어지도록 할 계획입니다.